본문 바로가기
재테크 공부

ETF 기초지식 총 정리

by 김도리 KIMDORY 2021. 4. 16.

ETF란

쉽게 말하면, 펀드를 주식처럼 쉽게 사고 팔 수 있는 상품

기본 정의는, 인덱스펀드를 기초로 한 금융 상품

*인덱스 펀드 : 목표지수인 인덱스를 선정해 이 지수와 동일한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운용하는 펀드

 

ETF의 목적

 

추종지수를 따라가는 것

그렇기 때문에 ETF를 선택할 때는 투종지수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.

 

내가 느낀 가장 큰 특징 5가지

1. 자동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하다.

 

주식형 ETF의 추종지수는 최소 10종목 이상 주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'ETF를 한다' = '분산투자를 한다' 는 말이 된다.

주식형 ETF가 아니라면 최소 3종목 이상의 시장에서 거래되는 다수 종목 가격을 나타내는 지수를 추종지수로 사용해야 한다.

 

2. 개별주식보다 적은 돈으로 내가 사고 싶은 주식에 발을 담굴 수 있다.

 

몇 천원으로도 ETF를 매수할 수 있다. 

어제 배당주에 관심이 생겨 매수해본 'KODEX 미국S&P고배당커버드콜(합성H)'는 10250원에 매수했고, 밥 한끼 안사먹으면 투자해 볼 수 있는 적은 금액이다. 만원으로 고배당주회사 열몇개에 투자한 셈이다.

 

kimdory.tistory.com/19?category=932293

 

KODEX홈페이지에서 ETF 분석하기

상품정보 탭에서 상품이름을 검색한다. ETF는 추종하는 지수가 무엇인지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기초지수정보를 먼저 본다. 미국S&P고배당주와 미국S&P500콜옵션 매도 합성을 통한 커버드콜 전략

kimdory.tistory.com

 

3. 기대수익률이 개별주식보다는 낮지만 안정성은 높다.

 

개별주식은 당일에도 수익률이 많게는 몇 십%까지 왔다갔다 하지만 ETF는 추종하는 지수를 따라가기 때문에 변동성이 크지 않고 안정적이다. 그만큼 기대수익률은 높지 않다고 볼 수 있다.

 

 

4. 펀드에 비해 운용보수가 훨씬 저렴하다.

 

주식형펀드의 운용보수는 평균 1.2%인데 반해, ETF의 평균 운용보수는 0.36%이다.

지금 나처럼 크지 않은 금액을 투자했을 때는 겨우 몇백원정도의 차이밖에 없겠지만, 이 금액이 점점 커지고 투자기간이 늘어날 수록 이 차이는 앞으로 몇백만원의 차이를 만들 수 있다.

 

 

5. 주식처럼 스마트폰에서 쉽고 빠르게 거래할 수 있다.

 

주식처럼 모바일금융어플을 통해 바로 거래하고 기본 정보들도 쉽게 볼 수 있다.

나는 '신한금융투자'어플 사용하고 있는데 일단 UI가 깔끔하고 전반적으로 정리가 잘 되어있어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다.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ETF투자를 처음 해보면서 느낀점은 사는 재미가 있다는 것이다. 좋은 현상일지 아닐지 모르겠지만 적은 돈으로도 내가 관심있는 기업에 투자할 수 있다보니 만원 이만원이 아까워진다. 만원이면 ETF하나 살 수 있는데.. 이 생각에 강제 절약을 실천 중이다ㅎ 그렇지만 공부하지 않고 투자하는 건 안되니까... 꾸준히 공부 열심히..!!